Multimedia

JPEG

Roien 2021. 12. 22. 12:15
반응형

Introduction

JPEG  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에 의해서 표준화된 압축 기법입니다.

Joint ISO CCITT의 협력을 의미합니다. 각각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이며, CCITT는 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 입니다.

 

-컬러정지영상 압축에 관한 표준화가 처음으로 시작된 것은 1980년대 초였는데, 그 후 표

준방식을 통신용도까지 넓히기 위해 CCITT, SG8과의 합동위원회가 조직되고 ISO /

TC97 / SC2 / WG 8산하에 JPEG이 설치되었다. JPEG는 원래 조직명칭이었지만, 최근

에는 MPEG과 마찬가지로 압축알고리즘의 권고 그 자체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

. JPEG의 압축기술은 MPEG의 기본기술로서(양자화 메트릭스 개념)채택되었다.

-JPEG은 최종적으로 부호화영상품질의 주관적 평가실험을 거쳐, 기본방식으로서

ADCT(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), 확장방식으로서 산술부호화

(Arithmetic Coding) / 허프만 부호화(Huffman Coding)를 각각 채용하였다.

 

 

영상 압축의 원리

1) 공간 중복성(Spatial Redundancy) : 영상 내 화소간의 중복성

인접한 화소들은 서로 비슷한 값을 가진다.

사람의 눈은 화소 값이 갑자기 변하는 고주파성분에 둔감하다.

 

2) 대역간 중복성(Spectral Redundancy)

회색영상은 대역신호가 1개이고, 컬러영상은 대역신호가 3(R:빨강, G:녹색, B:

)이다. 대역신호가 2개 이상인 경우 상호간 중복성 제거한다. R,G,B 3개의 신호는

명암 정보가 중복되어 상당히 유사하다. YIQ 방식은 사람의 눈이 색상보다는 밝기에

민감하다는 사실에 착안한 방식으로, 색을 밝기(Luminance) Y성분과 색상

(Chrominance) I Q성분으로 구분한다. Y성분은 오차에 민감하므로 색상성분인

I Q보다 많은 비트를 사용하여 코딩한다. 일반적인 Y:I:Q의 비트율은 4:2:2이다.

 

3) 통계 중복성(Statistical Redundancy)

데이터에 내재한 상관성을 이용한 압축

Entropy Coding: Huffman 코딩

 

 

JPEG Human Vision System 의 한계를 활용한다. 인간의 눈은 컬러 색상에서의 조그만 변화보다는 밝기에서의 조그만 변화를 더 쉽게 인지할 수 있다. 이런 인간 시각 시스템의 특징을 활용하여 JPEG은 좀 더 컬러 정보 많이 제거한다.

 

1/20까지 압축률을 크게 하여도 원래 영상과 비교해서 차이가 없어 보이게 할 수 있다.

 

JPEG 방법에서는 고주파 자료가 여과되므로, 날카로운 에지들로 구성된 영상에서는 잘 수행될 수가 없다.

JPEG 방법으로 영상을 압축할 때, 결과 영상의 질에 대한 수준(Q 또는 Q factor)을 제시하여야 한다.

 

Q가 높게 설정될수록 영상의 질은 더욱 좋아질 것 이면서, 파일의 크기는 더욱 커질 것이다. Q가 작게 설정될수록 영상의 질이 저하되지만, 파일의 크기는 작아질 것이다. 이것은 손실 압축 방법에 있어서 발생하는 영상의 질과 압축률 양자간의 대립되는 문제이다. 큰 압축률이 영상의 질에 손상을 주지 않고 달성될 수 없다.

 

영상 저하 특징

  • blocky structure
    • 영상 화소들이 합쳐진 사각형들의 묶음체로 변질된다.
    • 뭉쳐진 사각형들은 뭉쳐지기 이전의 화소들의 평균값으로 구성될 것이다.
  • 윤곽화
    • 윤곽화는 점차적인 음영을 가진 영역에서 보여진다. 공명은 날카로운 에지들 주위에서 발생한다.
  • ringing effect
    • 공명은 날카로운 에지들 주위에서 발생한다.

 

베이스라인 JPEG압축 방법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